본문 바로가기

728x90

LIFE

(21)
내가 만든 번호 추첨기 사용해서 복권 구매! 2025.02.06 - [분류 전체보기] - 연금복권 가중치 번호 추첨기 연금복권 가중치 번호 추첨기복권 번호 추첨기는 많이 보았지만  연금복권 번호 추첨기는 수요가 없는지 본적이 없다.나는 복권(로또)도 구매하고 연금복권도 구매하기에 직접 가중치 적용한 번호 추첨기를 만들었다. See thurdasol98.tistory.com2025.02.06 - [분류 전체보기] - 복권 가중치 번호 추첨기(개선) 복권 가중치 번호 추첨기(개선)복권 가중치 번호 추첨기에서 처음 데이터를 불러올 때 속도가 느려서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힘들었다.그래서 다음과 같은 개선을 진행하였다. 1. 값을 불러오는 중에는  로딩 스hurdasol98.tistory.com지금껏 연금복권과 로또를 구매할때는 그냥 자동번호 ..
죽은 인터넷 이론(Dead internet theory) 인터넷에 공급되는 각종 정보 및 컨텐츠는 대부분 자동화 봇(AI)의 산물이며,이용자 가운데 실제 사람의 참여나 노력으로 생산되는 것은 거의 없게 되었다. 우리는 매일 인터넷에서 수많은 컨텐츠를 보고, 타인의 반응을 살피며 살아간다.최근들어 이런 생각이 계속 든다. 내가 지금 보고 있는 댓글이나 게시물이 정말 사람이 쓴 걸까? 사람들은 주변 환경과 타인의 의견에 굉장히 민감하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후기를 많이 볼수록 그 제품을 신뢰하게 되며, 주식관련된 컨텐츠만 보더라도 진실보다 타인의 의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요즘 많은 플랫폼에서 댓글, 좋아요, 공유 같은 활동들이 AI와 봇에 의해 자동화되고 있다.특정 주제를 홍보하거나 논쟁을 유도하기 위해 설계되었고, 심지..
솔직한 기록 네이버나 구글등에서 정보가 필요해서 검색을 하였을 때 광고가 많이 나온다.물론 직접 광고비용을 들여 검색시 상단에 띄어지는건 이해한다.  하지만 내가 불편한 점은 사람들이 작성하는 글들의 대부분이 광고라는 점이다. 블로그의 맨마지막에는 "업체의 제공을 받았지만 솔직하게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라는 형식의 광고글이 너무 많다.심지어 이런걸 거르고 싶어서 먼저 찾기로 "제공"이나 "체험"단어들을 빼고 검색하려해도 악랄하게 이미지로 박아넣는다; 내 최근 경험으로는 늦었지만 급하게 공무원 준비를 시작하면서 교재나 강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검색을 하였을 때, 진짜 광고글밖에 없었다.똑같은 형식의 똑같은 내용의 광고글... 이때 도움이 된 것은 뜬금없이 디시인사이드의 글이였다.원래 디시인사이드를 포함해서 기타 ..
티스토리 방문자 없는 유령 댓글(=스팸 댓글 매크로) 내 생각과 상황에 대한 기록을 남기려고 티스토리를 시작하였다.근데 글을 작성하기 시작한지 단 2일.. 벌써 사람들이 남의 일기장이 궁금해서 들여다보나?블로그관리를 보니 방문자는 무려 "0" 어쩐지 스팸으로 처리되어 휴지통에 있길래 내가 설정을 잘못했나? 생각하며 복구시켜주었는데 진짜 스팸이 맞았다...글 잘보았다는 답글이였길래 순간 기분이 좋았던게 허무하다.(지금은 다시 휴지통으로~) 왜 저런 일을 하는건지 찾아보니 "댓글을 타고 자기 블로그를 봐달라는 목적"으로 매크로를 사용하는 것이다.매크로좀 사라졌으면;;;
주식담보대출(주담대)로 삼성전자 주가 계산해보기 최근 AI관련 내용중에서 Deepseek가 불러온 큰 파장은 사실 AI의 기술 발전의 놀라움보단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엔비디아(Nvidia, NVDA)의 주가폭락이 주된 관심사였던 것 같다.무려 17% 폭락 = 시총 840조 = 삼성전자 약 2.8개 (2025.2.3기준)deepseek이 저사양칩으로 최고사양 고성능칩으로 만든 ai들과 비등하다! =  사실상 엔비디아의 칩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이유로 폭락하였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의 기술력이 훼손된것이 아니기에 다시 오를것이라 생각하긴한다.)(투자를 적게한(?) 애플만 오른 상황.... 아이러니하다.)  암튼 친구중 한명이 폭락했을 때, 엔비디아를 매수하였다고 말하였고다른 형이 삼성전자가 맛있는(?) 자리라고 언급하여 나도 동감하며 그렇게 생각한..

728x90
반응형